※본 블러그&산행기는 정맥산행하는데 후답사자 판단을 돕고자 올리는 사진입니다.
요즘 산행은 스마트폰을 보면서 산행하지만 산행하기전 선답사자 사진 감상하고 전체적으로 판단하라는 뜻에서 올리는 것
글에 오타가 있을수 있으니 이점 양해부탁드립니다.
1. 출발 및 산행시간
▶홈 출발일시 : 18년 4월 29일(일) 03시 00분 ※백양사 고속도로 휴게소 경유 30분정차.
▷산행지 도착 : 4월 29일(일) 07시 25분[용추계곡 주차장]
▷택시 이동 : 07시32분 ~ 07시 58분[피재도착]
▷피재 출발 : 08시00분 ~ 골치재 도착시간 : 19시06분 ~ 용추교 도착 : 19시30분 [사진 : 11시간30분]
2. 누구랑 이동 : 진주님하고 둘이서
3. 산행 코스 : 난이도(중급)
피재- 2.9 - 513.7봉 - 2.6 - 용두산 - 3.6 - 367봉 - 2.4 - 감나무재(갑낭재) - 2 - 682봉 - 2.2 -
제암산 - 1.4 - 곰재 - 2 - 사자산 - 2 - 561.7봉 - 1.2 - 골재 - 1.3 - 용추계곡(접속)
4. 산행거리 및 예상시간 :
① 도상거리 : 24.2km
② 실측거리 : 24.09km[골치재. 표고 502m]
25.45km[용추교. 표고 361m] 평균속도 : 2.3km. *평소 평균산행 거리보다 200m 느리게 걸었다.
5. GPS지도 표고[트랭글 작동미숙 미기록]
전날 4/28(토) 우리 회원님들은 이곳 구간을 편하게 버스타고 와서 산행을 하였다.
나는 친한 친구의 딸 결혼하는데 참석하는 관계로 오늘 우리부부만 산행하게 되었다.
도착 직전 장흥군 장평면 하탑동길 11 장동개인택시로 전화해 시간약속을 해 둔다.
일림산 용추계곡 주차장에 07시25분쯤 도착한다.
캄캄한 새벽녘에 운전한 머리가 용추계곡 물 흐르는 소리 듣고 맑아지는 느낌이 든다.
택시 도착전에 미리 베낭을 챙겨둔다.
07시29분
용추계곡 축제 준비 때문인가 아니면 주일이라 등산객들이 많이 몰려올 줄 알고 준비 중인지 상인들이 분주하게 움직인다.
07시31분 상큼하게 준비 완료
07시32분 택시가 도착했다. 피재로 택시타고 이동한다.
피재에서 출발하면 이곳 용추계곡 주차장까지 산으로 걸어서 도착해야 한다. 중간에 탈출할수도 없다.ㅎㅎㅎ
개인택시 명함
08시00분 개인택시 사장님께서 정확하게 피재 터널위 이 자리에 우리 부부을 내려준다.
도로 가드레일을 넘어간다.
여유있는 모습 ㅋㅋㅋ
여기 진행하기 전 산행 참조.
도로 건너편 휀스 중간지점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길이 또렷하게 나있다. 어제 우리 일행들은 우측방향으로 진행한 것 같다.
나는 좌측으로 진행했으며 휀스끝에서 시멘트 도로를 접한다.
당항하지 마시고 우측 도로 따라 올라가면 크게 묘지를 조성해 놓은 곳이 있다.
묘지 계단으로 올라가 묘지 뒤 좌편으로 진입해 올라가면 능선지점에서 서로 만난다.
묘지 주변에 고사리가 많은 것을 확인하고 산행하면서 조금씩 채취하느라 정신이 없다. 산행은 느려지고 ㅎㅎㅎ
09시06분 헬기장도착
09시06분 병무산 표시기가 있다. 피재에서 한시간 거리이다.
병무산 할미꽃
09시21분 두번째 헬기장
09시33분 금장재 도착전 지도에 없는 임도길을 만난다. 까진재는 아니다. 까진재는 병무산 도착전에 있는데 어떤 표시도 없다.
09시53분 469.5봉 넘어오니 금장재 알림 표지판이 있다.
10시07분 첫 산죽지대를 지나간다.
10시13분 용두산[551m] 산불감시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다.
용두산 주변으로 고사리가 많다.
10시25분
10시28분 헬기장 모습
10시35분 등산지도에 없는 임도길이 신설되어있다.
내려가면서 보이는 좌측방향으로 전남 장흥군 장동면 중하방이길 북교리마을로 내려갈 수 있다.
탈출자분들은 좌측방향으로 진행하면 마을이 가깝다.
우측방향으로 내려가면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삼정길로 만년리마을로 내려간다.
정맥길은 보이는 도로 건너편 아래로 내려가 진행한다.
내려와 뒤 돌아보면 주변모습
보이는 우측 임도길이 북교리마을방향
10시43분 무명봉[305.1]에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 끼고 급좌측 갑낭재 방향으로 틀어 진행한다.
아무생각 없이 직진하면 장항마을로 내려가 알바한다.
시그널에 453.9m라고 했는데 현지형에 400m가 넘는 봉우리는 없다. 등산지도에도 없다.
아마도 등산지도에 305.1m봉이 아닌가한다.
11시00분 민가주택을 좌측에 두고 진행한다.
11시02분 산속에서 내려오면 이런 곳에 도착한다.
바로 우측으로 진입하는 시그널이 있는데 아무런 의미도 없는 무명봉 올라갔다 내려온다.
11시06분 경운기 길 따라 진행해도 무방하다.
11시06분 이 지점에서 서로 만난다.
11시09분 진행하다보면 이런 지형 임도에 도착하는데 직진해 작은 산행길로 올라간다.
11시15분 만년고개 도착
내려오면서 우측방향
내려오면서 좌측방향
11시17분 만년고개 이정표
11시50분 만년고개에서 오르다 보면 이런 옛날 TV 안테나도 있다.
11시52분 이번 산행지에서 처음 접하는 암릉이다. 지금까지는 육산이었지만 지금부터 진행하면서 간간이 암릉을 접한다.
암릉에서 바라본 우측편으로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마을이 보인다.
11시57분 만년리 마을 바라보며
'호남정맥종주[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구간 호남정맥종주 피재- 용두산 - 제암산 - 사자산 - 골재 - 용추계곡(접속)3 (0) | 2018.04.30 |
---|---|
15구간 호남정맥종주 피재- 용두산 - 제암산 - 사자산 - 골재 - 용추계곡(접속)2 (0) | 2018.04.30 |
16구간 호남정맥종주 용추계곡(접속) - 골재 - 삼비산 - 일림산 - 활성산 - 봇재 - 봉화산 - 오도재5 (0) | 2018.03.25 |
16구간 호남정맥종주 용추계곡(접속) - 골재 - 삼비산 - 일림산 - 활성산 - 봇재 - 봉화산 - 오도재4 (0) | 2018.03.25 |
16구간 호남정맥종주 용추계곡(접속) - 골재 - 삼비산 - 일림산 - 활성산 - 봇재 - 봉화산 - 오도재3 (0) | 2018.03.25 |